• HOME
  • JOIN
  • SITEMAP
  • ENGLISH
     无人机,  
국제드론사관학교 무인항공기, 무인정찰기, 무인항공, 무인기, 드론, 무인비행장치, UAV, UAS, 로봇항공기, Unmanned Vehicle, UCAV VTOL, Drone, RPV, RPAS, RPA 로봇항공기센터 새창 바로가기
, RPAV , 국제드론사관학교
    KOREA UAV 무인항공기센터 William J.Park's UAS Information Center

     1995~1999, 이스라엘 무인기 도입

      Searcher UAV
     
      국방부는 1993년 9식(최초 8식 개발, 1식 해외도입)의 무인항공기를 육군용으로 국내 연구개발로 획득하는 계획하에 연구개발을 진행하였으나, 여러가지 기술적인 문제들로 인해 개발이 지연됨에 따라 목표년도를 2년 4개월 연장하였으나, 전력화 개발 완료 가능성이 미지수였다. 이에 따라 육군은 전력화 기간을 단축하고 국내 개발 부족기술의 확보 및 운용/정비 기술 습득, ILS 기반 구축 등을 위해 1996년에 해외 장비 도입을 결정하였다.
      육군은 여러 장비들 중 이스라엘의 IAI 서처를 선정하여 구매하기로 하고, 1997년에 본격 도입을추진하면서, 도입 인수요원들(창설모체요원) 38명이 선발하여 제반 관련 교육을 병행한 후 결국 1999년에 도입하였다. 서처 무인항공기를 도입하고 운용하면서 많은 선진국의 관련 기술들이 습득되면서 비조의 개발에 적용되어 국내 개발 및 전력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에피소드

    1997년 전후방 각지의 제 병과에서 창설 모체요원 38명이 선발되어 약 2년가 정보학교(전술/전략정보, 전투서열, 항사판독 등 과정), 통신학교(통신이론 및 운용, 전술데이터통신 등), 항공학교(비행원리, 항공관련 운용 및 정비 등), 행정학교(군사영어반) 등의 교육과 외부조종요원의 RC 및 축소기 훈련 등으로 2년여 국내 교육을 이수하였다. 이 후 1999년에 이스라엘 IAI/MALAT 사에 파견되어 실 무인정찰기 운용 및 정비 교육을 이수하고 귀국하여 장비 도입 전에 부대 창설을 준비하였다.

    1999년 12월 1일 드디어 두개의 UAV 중대가 창설되어 실 임무 수행에 들어갔다.

    부대 창설요원 사진 모음

         
         
         
         
         

     

     HARPY UAV


       공군에서는 폭격용 무인기로서 1997년 이래 약 100여기가 도입도어  운용되고 있다. 이 기종은 대 레이더 임무를 수행을 위해 개발되어 차량에서 발사되어 5,000~10,000ft 상공에서 선회비행을 하다가 레이더 신호를 추적 자폭하는 운용 개념을 가지고 있다.